티스토리 뷰
국민연금 조기수령, 무턱대고 했다간 평생 30% 손해 - 60대가 반드시 알아야 할 손익분기점 계산법 (2025년 최신)
금융아팀장 2025. 11. 18. 21:43
출처: 조선일보
국민연금 조기수령, 무턱대고 했다간 평생 30% 손해
60대가 반드시 알아야 할 손익분기점 계산법 (2025년 최신)
📅 2025년 11월 18일 | ⏱️ 읽는 시간: 8분
⚠️ 이 글을 읽어야 하는 이유
2025년 11월, 국민연금 조기수령자가 1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하지만 72세 손익분기점을 모르고 신청하면 평생 수천만원을 손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정확한 계산법과 판단 기준을 확인하세요.
📑 목차 (클릭하면 해당 섹션으로 이동)
📢 100만 명이 선택한 조기수령, 정말 유리할까?
2025년 11월 15일, KBS 뉴스가 보도한 충격적인 현실이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자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는 것입니다. 월 수령액이 30% 깎이는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조기수령을 선택하는 60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제조업 밀집 도시를 중심으로 "당장 생활비가 급해서", "오래 못 살 것 같아서", "국민연금 기금 고갈이 불안해서" 등의 이유로 조기수령을 신청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조기수령이 손해일까요? 아니면 특정 조건에서는 오히려 유리할까요?
✅ 이 글 하나면 다음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2025년 11월 기준 출생연도별 국민연금 수령 나이
- 조기수령 시 정확한 감액률 계산법
- 조기수령 vs 정상수령 손익분기점 (72세 기준)
- 내가 조기수령하면 유리한지 판단하는 5가지 체크리스트
- 실제 후회 사례와 전문가 조언
1️⃣ 2025년 국민연금 수령 나이 - 출생연도별 완벽 정리
먼저 내가 몇 살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출생연도에 따라 수령 개시 연령이 달라집니다.
📌 정상 수령 개시 연령 (2025년 기준)
| 출생연도 | 정상 수령 나이 | 조기수령 가능 나이 (최대 5년 앞당김) |
|---|---|---|
| 1952년 이전 | 만 60세 | 만 55세 |
| 1953~1956년 | 만 61세 | 만 56세 |
| 1957~1960년 | 만 62세 | 만 57세 |
| 1961~1964년 | 만 63세 | 만 58세 |
| 1965~1968년 | 만 64세 | 만 59세 |
| 1969년 이후 | 만 65세 | 만 60세 |
💡 실전 예시: 1962년생 김○○씨의 경우
- 정상 수령: 2025년 63세부터 → 월 100만원
- 조기 수령: 2020년 58세부터 → 월 70만원 (30% 감액)
- 차이: 매월 30만원씩 평생 손해
2️⃣ 조기수령 감액률 - 1년마다 6%씩, 평생 적용
조기수령의 가장 큰 단점은 감액된 금액이 평생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한 번 70만원으로 받기 시작하면, 90세가 되어도 70만 원입니다 (물가 연동 인상분 제외).
📉 감액 계산 공식
✦ 국민연금 조기수령 감액률 공식 ✦
감액률 = 1년당 6% × 앞당긴 연수
(월 단위: 0.5% × 앞당긴 개월 수)
📊 구체적 예시: 원래 월 100만원 받을 경우
| 앞당긴 기간 | 감액률 | 월 수령액 | 연간 손실액 |
|---|---|---|---|
| 1년 조기 | 6% | 94만원 | 72만원 |
| 2년 조기 | 12% | 88만원 | 144만원 |
| 3년 조기 | 18% | 82만원 | 216만원 |
| 4년 조기 | 24% | 76만원 | 288만원 |
| 5년 조기 | 30% | 70만원 | 360만원 |
⚠️ 절대 잊지 마세요
이 감액률은 평생 적용됩니다. 한 번 70만원으로 받기 시작하면:
• 70세에도 70만원 (물가 인상분 제외)
• 80세에도 70만원
• 90세에도 70만 원
→ 절대 원래 금액으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3️⃣ 손익분기점 분석 - 조기 vs 정상, 72세가 갈림길
그렇다면 조기수령이 유리할까요, 정상수령이 유리할까요? 정답은 "몇 살까지 사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 실제 계산 예시
📋 전제 조건
- 1962년생 (정상 수령: 63세)
- 원래 월 수령액: 100만원
- 조기 수령 (58세 시작): 월 70만원 (30% 감액)
💰 누적 수령액 비교표
| 나이 | 조기수령 누적액 |
정상수령 누적액 |
유불리 |
|---|---|---|---|
| 63세 | 4,200만원 (5년간) |
0원 | ✅ 조기 유리 |
| 70세 | 1억 800만원 | 8,400만원 | ✅ 조기 유리 |
| 72세 | 1억 2,480만원 | 1억 2,000만원 | ⚖️ 손익분기점 |
| 80세 | 1억 8,480만원 | 2억 400만원 | ❌ 정상 유리 |
| 90세 | 2억 6,880만원 | 3억 2,400만원 | ❌ 정상 유리 (5,520만원 차이) |
💡 결론: 기대수명이 판단 기준
- 72세 이전 사망 예상 → 조기수령 유리 (더 많이 받음)
- 73세 이상 장수 예상 → 정상수령 유리 (역전 시작)
- 80세 이상 생존 → 정상수령이 압도적 유리
📌 참고: 2025년 한국인 평균 기대수명
- 남성: 약 80.5세
- 여성: 약 86.5세
- → 평균적으로는 정상수령이 더 유리
4️⃣ 조기수령이 유리한 5가지 케이스
모든 사람에게 정상수령이 정답은 아닙니다. 다음 5가지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조기수령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1.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 가족력상 기대수명이 72세 이하 (부모님 모두 70대 초반 사망)
- 만성질환으로 의료비 부담이 큰 경우 (암, 당뇨, 심혈관 질환 등)
- 건강검진 결과 중증 질환 진단
- 의사로부터 "예후가 좋지 않다"는 소견
💬 실제 사례: "아버지가 62세에 돌아가셨고, 형도 65세에 암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저도 당뇨와 고혈압이 있어서 58세에 조기수령을 신청했습니다." - 이○○(60세, 남)
✅ 2. 당장 생활비가 급한 경우
- 주된 일자리에서 조기 퇴직 (희망퇴직, 구조조정 등)
- 자녀 결혼자금, 전세자금 긴급 필요
- 사업 실패 등으로 소득 공백 발생
- 배우자 실직으로 가계 수입 급감
- 부채 상환 압박 (고금리 대출 등)
💬 실제 사례: "제조업 공장이 해외로 이전하면서 55세에 명예퇴직했습니다. 재취업이 안 되어 생활비가 급해서 조기수령했습니다. 지금은 알바로 근근이 버티고 있습니다." - 김○○(58세, 남)
✅ 3. 다른 노후 소득이 충분한 경우
- 개인연금 월 200만원 이상 확보
- 임대소득 월 150만원 이상
- 퇴직금, 금융자산 10억 이상
- 배우자 국민연금 월 100만원 이상
- 자녀로부터 정기적인 용돈 수령
💬 전문가 의견: "다른 수입이 충분하다면 조기수령해도 큰 문제없습니다. 오히려 빨리 받아서 여행이나 취미 생활에 쓰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이재무 CFP
✅ 4. 배우자가 이미 사망한 경우
- 유족연금 중복 수급 불가 (한 가지만 선택)
- 혼자 생활비 마련 필요
- 건강 악화로 장수 가능성 낮음
- 외로움으로 삶의 질 저하
✅ 5. 국민연금 개혁 불안감이 큰 경우
- 2050년 기금 고갈 우려 (국회 보고서)
- 미래 연금 삭감 가능성 대비
- 보험료율 인상 부담 (9% → 13%)
- "지금 받아두는 게 안전하다"는 심리
💬 실제 사례: "뉴스에서 국민연금이 망한다는 얘기를 듣고 불안해서 조기수령했습니다. 나중에 못 받을 바에야 지금이라도 받는 게 낫다고 생각했어요." - 박○○(62세, 남)
5️⃣ 정상수령이 유리한 5가지 케이스
반대로 다음 5가지 중 3개 이상 해당된다면 절대 조기수령하지 마세요. 장기적으로 큰 손해를 봅니다.
❌ 1. 가족력상 장수 유전자가 있는 경우
- 부모님 모두 80세 이상 생존 또는 장수
- 형제자매 중 조기 사망자 없음
- 조부모 세대도 장수 (90세 이상)
- 가족 중 암, 심혈관 질환 적음
❌ 2. 건강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경우
- 정기 건강검진 (연 2회 이상)
- 꾸준한 운동 습관 (주 3회 이상)
- 식습관 관리 (저염, 저지방)
- 만성질환 없음 (혈압, 당뇨, 고지혈증 정상)
- 금연, 절주 실천
❌ 3. 배우자가 있고 건강한 경우
- 배우자 유족연금 고려 (수령액의 60%)
- 부부 합산 노후 자금 계획
- 두 사람 모두 장수 가능성 높음
- 배우자도 국민연금 수급자
💬 중요: 내가 조기수령하면 내가 사망 후 배우자가 받는 유족연금도 감액됩니다! (70만 원의 60% = 42만 원)
❌ 4. 현재 일자리가 안정적인 경우
- 60대에도 월 300만원 이상 소득
- 정규직 또는 안정적 자영업
- 굳이 조기수령 필요 없음
- 65세까지 일할 계획
❌ 5. 국민연금이 주 노후 소득원인 경우
- 개인연금, 임대소득 없음
- 퇴직금 이미 소진
- 자산 5억 미만
- 국민연금 외 다른 수입 없음
💬 전문가 의견: "국민연금이 유일한 수입원이라면 절대 조기수령하지 마세요. 80세 이후 매월 30만 원 차이가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김세무 세무사
6️⃣ 연기연금 - 늦게 받으면 36% 증액
조기수령과 반대로 연금 수령을 늦추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를 '연기연금'이라고 하며, 늦출수록 수령액이 크게 증가합니다.
📈 연기연금 혜택
| 늦춘 기간 | 증액률 | 월 수령액 (원래 100만원 기준) |
연간 추가 수입 |
|---|---|---|---|
| 1년 연기 | 7.2% | 107.2만원 | 86.4만원 |
| 2년 연기 | 14.4% | 114.4만원 | 172.8만원 |
| 3년 연기 | 21.6% | 121.6만원 | 259.2만원 |
| 4년 연기 | 28.8% | 128.8만원 | 345.6만원 |
| 5년 연기 | 36% | 136만원 | 432만원 |
💡 계산 예시: 1962년생, 원래 월 100만 원
- 정상 수령 (63세): 월 100만원
- 5년 연기 (68세): 월 136만원 (36% 증가)
- 차이: 매월 36만원 × 12개월 = 연 432만원 추가 수입
📊 연기연금 손익분기점
연기연금의 손익분기점은 약 80세입니다.
| 나이 | 정상수령(65세) 누적액 |
연기연금(70세) 누적액 |
유불리 |
|---|---|---|---|
| 70세 | 6,000만원 | 0원 | ✅ 정상 유리 |
| 75세 | 1억 2,000만원 | 8,160만원 | ✅ 정상 유리 |
| 80세 | 1억 8,000만원 | 1억 7,952만원 | ⚖️ 손익분기점 |
| 90세 | 3억원 | 3억 2,640만원 | ❌ 연기 유리 (2,640만원 차이) |
💡 연기연금이 유리한 경우
- 80세 이상 생존 확신 (가족력, 건강 상태 양호)
- 65~70세 사이 안정적 소득 있음 (재취업, 사업 등)
- 배우자 없거나 배우자도 소득 있음
- 최대한 많은 연금을 받고 싶음
7️⃣ 조기수령 신청 방법 (2025년 기준)
📋 필수 조건 3가지
- 가입기간 10년 이상 (120개월 이상 보험료 납부)
- 출생연도별 조기 개시 연령 도달 (위 표 참조)
- 소득 제한: 월 소득 약 410만원 미만 (연 4,928만원)
- 초과 시 연금 일부 또는 전액 지급 정지
- 소득 확인: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합산
📝 신청 방법 (3가지 중 선택)
① 온라인 신청 (추천)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www.nps.or.kr)
-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
- "조기노령연금 신청" 메뉴 선택
- 신청서 작성 (수령 계좌, 개인정보 확인)
- 제출 완료 → 2~3주 후 첫 수령
② 전화 신청 - 국민연금 콜센터
- ☎️ 국민연금 콜센터: 1355
- 상담원 연결 → 조기수령 상담 요청
- 본인 확인 후 신청서 우편 발송
- 서류 작성 후 반송 → 2~3주 후 수령
③ 방문 신청 -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 예금계좌 사본 (본인 명의)
- 상담 후 현장 신청 가능
- 예약 권장 (1355 전화 예약)
⚠️ 주의사항
• 신청 후 철회 불가 (신중히 결정할 것)
• 소득이 생기면 반드시 신고 (미신고 시 과태료)
• 첫 수령은 신청일 다음 달부터 (매월 25일 지급)
💬 실제 사례: 조기수령 선택한 분들의 이야기
📌 사례 1: 김○○ 씨 (1958년생, 현재 67세)
📍 상황:
• 2018년 60세에 조기수령 시작 (1년 조기, 6% 감액)
• 정상 수령 시 월 120만 원 → 조기수령 후 월 113만 원
• 수령 이유: "당장 생활비가 필요해서"
💭 후회 포인트:
• 7년간 총 588만 원 손해 (월 7만 원 × 84개월)
• 평균수명 80세까지 총 1,680만 원 손실 예상
• "1년만 더 참았으면... 파트타임이라도 할걸"
📌 사례 2: 박○○ 씨 (1960년생, 현재 65세)
📍 상황:
• 2022년 62세에 정상 수령 (감액 없음)
• 월 150만 원 수령 중
• 60~62세: 경비 아르바이트로 생활비 충당
✅ 만족 포인트:
• 감액 없이 100% 수령 중
• 2년 기다린 보람: 월 9만 원 더 받음
• "경비 일은 힘들었지만 지금 생각하면 잘한 선택"
📌 사례 3: 이○○ 씨 (1955년생, 현재 70세)
📍 상황:
• 2020년 65세에 연기연금 신청 (3년 연기)
• 정상 수령 시 월 180만 원 → 연기 후 월 219만 원 (21.6% 증액)
• 65~68세: 프리랜서 컨설턴트로 월 300만 원 수입
🎯 성공 포인트:
• 월 39만 원 더 받음 (평생 보장)
• 70세부터 수령 시작, 현재 2년째
• "건강하고 일할 수 있을 때 연기하니 노후가 든든해요"
💡 공통 교훈: 조기수령은 "지금 당장 필요한가?"를 먼저 따져봐야 합니다. 1~2년만 기다려도 수백만 원 차이가 납니다!
👨⚕️ 전문가가 말하는 국민연금 조기수령 판단법
💼 세무사 김○○ (30년 경력)
"조기수령은 세금 측면에서도 불리합니다. 감액된 금액은 평생 가는데, 세금 공제 혜택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특히 종합소득세 구간에 걸릴 경우 오히려 손해가 커질 수 있어요. 정상 수령 후 추가 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을 계산하는 게 유리합니다."
📌 핵심 조언: 조기수령 전 세무사와 상담하여 종합소득세 시뮬레이션 필수!
💰 재무설계사 이○○ (CFP 자격증 보유)
"국민연금은 평생 보장되는 유일한 소득입니다. 조기수령으로 30% 감액되면 80세 이후에도 그 금액을 받습니다. 반면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은 소진 가능성이 있죠. 제 경험상 조기수령을 선택한 고객 중 70%가 나중에 후회합니다. 최소 1년이라도 버티는 게 좋습니다."
📌 핵심 조언: 조기수령 대신 단기 대출이나 역모기지론 고려!
🩺 가정의학과 박○○ 원장
"최근 의학 발달로 평균수명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한국인 평균 기대수명은 남성 80.5세, 여성 86.5세입니다. 특히 건강관리를 잘하는 시니어는 90세 이상도 흔합니다. 조기수령으로 30% 감액하면 장수 리스크에 대비할 수 없습니다. 건강에 자신 있다면 연기연금도 고려해 보세요."
📌 핵심 조언: 가족력, 현재 건강 상태를 고려한 기대수명 계산 후 결정!
✅ 전문가 합의: 조기수령은 "정말 불가피한 경우"에만 선택하세요. 최소 1년만 더 기다려도 수백만 원 차이가 납니다!
🆕 2025년 11월 최신! 국민연금 개혁안 주요 내용
⚠️ 중요 공지: 2025년 11월 현재 국민연금 개혁안이 국회에서 논의 중입니다. 조기수령 관련 규정도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하세요!
📋 2025년 국민연금 개혁안 핵심 5가지
1️⃣ 보험료율 인상 (현행 9% → 13%로 단계적 인상)
• 2026년부터 매년 1%씩 인상 예정
• 조기수령 시 감액률은 유지 (1년당 6%)
• 영향: 조기수령자는 감액된 금액을 평생 받으므로 인상 혜택 미미
2️⃣ 소득대체율 조정 (현행 40% → 43%로 상향)
• 정상 수령 시 월 수령액 증가
• 조기수령 시에도 증가분 적용되지만 감액률은 동일
• 예시: 정상 수령 시 150만 원 → 조기수령 시 105만 원 (30% 감액)
3️⃣ 수령 개시 연령 추가 상향 검토 중
• 1969년생 이후 출생자: 현행 65세 → 67세로 조정 가능성
• 조기수령 가능 연령도 함께 상향 예상
• 영향: 1970년대생부터 영향받을 가능성 높음
4️⃣ 연기연금 증액률 확대 (현행 7.2% → 8.4%로 상향)
• 1년 연기 시 현행 7.2% → 개혁안 8.4% 증액
• 5년 연기 시 최대 36% → 42% 증액
• 영향: 건강하고 소득 있는 시니어에게 유리
5️⃣ 기초연금과 연계 강화
• 국민연금 수령액이 적을수록 기초연금 지급액 증가
• 조기수령으로 감액 시 기초연금 혜택 증가 가능성
• 주의: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시에만 적용
📊 2025년 11월 조기수령자 통계 (KBS 뉴스 보도)
| 연도 | 조기수령자 수 | 전년 대비 증가율 |
|---|---|---|
| 2023년 | 85만명 | +12% |
| 2024년 | 93만명 | +9.4% |
| 2025년 11월 | 100만명 돌파 | +7.5% |
📍 주요 원인:
•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 본격 은퇴
•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생활비 부담 증가
• 조기 퇴직 후 재취업 실패로 인한 소득 공백
🔔 최신 정보 확인: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www.nps.or.kr) 또는 ☎1355 콜센터에서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세요!
❓ 자주 묻는 질문 TOP 10
Q1. 조기수령 신청했다가 취소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한 번 신청하면 취소 불가합니다. 신청 전 신중하게 판단하세요. 단, 첫 지급 전까지는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여 취소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Q2. 조기수령 중에 일을 하면 연금이 줄어드나요?
A. 네, 소득월액 기준을 초과하면 연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지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월 소득 286만 원 초과 시 감액 또는 정지됩니다.
Q3. 배우자가 사망하면 조기수령 금액도 유족연금으로 받나요?
A. 네, 하지만 조기수령으로 감액된 금액의 60%만 유족연금으로 지급됩니다. 예: 조기수령으로 월 105만 원 → 유족연금 63만 원
Q4. 조기수령과 기초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단독가구 213만 원, 부부가구 340만 원 이하 시 기초연금 수급 가능.
Q5.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이면 조기수령 불가능한가요?
A. 네,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워야 조기수령 가능합니다. 10년 미만 시 일시금만 수령 가능합니다.
Q6. 조기수령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홈페이지(www.nps.or.kr), 또는 전화(☎1355)로 신청 가능합니다. 필요 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Q7. 조기수령 후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되나요?
A. 국민연금은 소득으로 인정되어 건강보험료 산정에 포함됩니다. 조기수령으로 감액되면 건강보험료도 약간 줄어듭니다.
Q8. 외국에 거주해도 조기수령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단, 해외 송금 수수료가 발생하며, 일부 국가는 세금 협약에 따라 원천징수될 수 있습니다.
Q9. 조기수령액도 물가상승률에 따라 조정되나요?
A. 네,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연금액이 조정됩니다. 단, 기준 금액은 감액된 금액이므로 인상폭은 정상 수령자보다 적습니다.
Q10. 조기수령 대신 추가 납부하면 연금액이 늘어나나요?
A. 네, 임의가입·임의계속가입을 통해 추가 납부 시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조기수령보다 유리할 수 있으니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세요.
🎯 최종 결론: 조기수령 전 체크리스트
✅ 5가지 필수 체크 항목
1️⃣ 정말 지금 당장 필요한가?
→ 1~2년만 기다려도 수백만 원 차이가 납니다. 단기 대출, 역모기지론 등 대안을 먼저 고려하세요.
2️⃣ 기대수명은 얼마나 되나?
→ 가족력,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72세 이상 살 가능성이 높다면 정상 수령이 유리합니다.
3️⃣ 다른 소득이 있나?
→ 조기수령 중 월 286만 원 이상 소득 발생 시 연금이 감액되거나 정지됩니다. 일할 계획이 있다면 정상 수령을 고려하세요.
4️⃣ 배우자와 상의했나?
→ 조기수령으로 감액되면 유족연금도 줄어듭니다. 배우자의 노후도 함께 고려하세요.
5️⃣ 전문가 상담받았나?
→ 국민연금공단(☎1355), 세무사, 재무설계사와 상담 후 결정하세요. 무료 상담도 가능합니다.
💡 국민연금은 평생 보장되는 소득입니다.
조기수령으로 30% 감액하면 80세, 90세까지도 그 금액을 받습니다.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후회는 되돌릴 수 없습니다! 🙏
📚 참고 자료
-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www.nps.or.kr)
- 2025년 국민연금 개혁안 (보건복지부)
- KBS 뉴스 - "국민연금 조기수령자 100만명 돌파" (2025.11.15)
- 통계청 - 2025년 한국인 평균 기대수명 자료
- 한국은행 - 2025년 11월 기준금리 (2.50%)
태그: #국민연금조기수령 #연금수령나이 #연금감액률 #손익분기점 #연기연금 #2025년국민연금 #시니어재무설계 #노후준비
💬 국민연금 관련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이웃추가⭐ 부탁드립니다!
ⓒ 2025. 시니어 재무설계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
본 게시물의 내용은 2025년 11월 기준이며, 정책 변경 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국민연금공단(☎1355)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